얼마전까지만 해도 대학교 반값 등록금에 대한
이슈로 인해 정치권 등에서도 많은 논쟁이 일었는데요,
그 만큼 대학교 등록금이 일반학생이 짊어지기에 높은
것이 현실입니다.
미국 같은 경우도 대학교 등록금이 매우 높은 편이라서
미국 학생들은 보편적으로 재학 중 학자금 대출을 받아서
취업 후 갚아나가지요.
하지만 대한민국은 우리 부모님 세대들이 워낙 교육열이
강하고 대학교 학자금 정도는 어떻게든 책임질려고 하시니
우리 부모님들의 고민도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.
일부 국가에서는 대학교 학비도 무료라고 하는데,
우리나라도 언제가는 그런 날이 올 수도 있겠죠.
아무튼 어찌됐든간에 대학교 입학이라는 고지에 올랐지만
신입생 및 재학생들 학자금 대출도 많이 이용하시리라 생각되서
오늘 한국장한재단에서 운영하는 학자금 대출에 대해 포스팅
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한국장학재단에서는 크게 세가지의 학자금 지원제도가 있습니다.
* 든든학자금 : 소득7분위 이하 대학 학부생
* 농어촌학자금 : 소득분위 무관, 학부생
* 일반학자금 : 소득8분위 이상 대학 학부생 + 대학생
위와 같이 든든학자금과 농어촌학자금은 대학생만
일반학자금은 대학생과 대학원생까지 학자금 대출이 가능하오니
이 세가지 학자금 및 학자금 대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◎ 든든학자금
* 신청대상
- 국내 대학 재학 중 , 입학예정인 대한민국 국민
- 만35세 이하로, 학자금 대출 신청일 기준 소득7분위 이내
( 단, 세자녀 이상 가구는 소득 분위와 무관함 )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c학점(70/100점) 이상 성적
* 등록금 대출 규모
- 최대 대출금액 : 등록금 전액 (입학금+수업료+기성회비 등)
- 최소 대출금액 : 등록금만 대출시 50만원
( 방송통신대 및 사이버대학은 10만원)
* 생활비 대출 규모
- 학기당 50만원~150만원 (단, 한학기 1회만 가능)
- 학기당 150만원 한도 내(연간300만원 한도)에서 대출 가능
* 대출 이자
- 2014년 1학기 기준 : 연 2.9% (변동금리)
* 이자 지원
- 기초생활수급권자, 소득1~3분위 해당시, 생활비 대출에 한해
의무 상환 개시 전까지 무이자 지원됨
* 대출상환방식
- 상환기준 소득 이상의 소득 발생 이전시, 원금과 이자의 납부를
소득 발생 이후로 유예 가능
- 생활기준 소득 이상의 소득 발생 이후, 기준 소득 초과분의 20%를
국세청에서 원천징수함.
◎ 일반(상환) 학자금
* 신청대상
- 국내 대학(대학원포함) 재학 중 , 입학예정인 대한민국 국민
- 만55세 이하로, 학자금 대출 신청일 기준 소득8분위 이내
( 단, 세자녀 이상 가구는 소득 분위와 무관함 )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c학점(70/100점) 이상 성적
* 등록금 대출 규모
- 일반대학(2년제포함) : 4천만원
- 5,6년제 대학 및 일반/특수 대학원 : 6천만원
- 의학,치의학,한의학 계열대학(원) 및 전문대학원 : 9천만원
* 생활비 대출 규모
- 학기당 50만원~100만원 (단, 한학기 1회만 가능)
- 학기당 100만원 한도 내(연간300만원 한도)에서 대출 가능
* 대출 이자
- 2014년 1학기 기준 : 연 2.9% (고정금리)
* 대출상환방식
- 원금균등분할상환 또는 원리금균등분할상환 중 선택가능
- 자동계좌이체를 통한 이자(원금+이자) 매월 생환
◎ 농어촌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(대출)
* 신청대상
- 농어촌 6개월 이상 거주 학무모의 자녀 또는 본인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
- 재학생일 경우 직전 학기 c학점(70/100점) 이상 성적
- 성적 또는 이수학점 기준 미충족시 특별추천제도 활용 가능
(개인당 2회 가능)
* 대출 규모
- 당해 학기 대학이 통보한 등록금 전액(입학금,수업료,기성회비 등)
(든든/일반 생활비 대출 이용 가능)
* 대출 이자
- 무이자
* 대출상환방식
- 원금균등분할상환
위와 같이 국가에서 운영되는 학자금 대출 이용하시면 저금리로
등록금 및 생활비 대출을 받아서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부디 하시는 모든 일 잘 되시기를 빌면서 오늘의 포스팅을
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