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usiness/세금 길라잡이

금융소득종합과세 어떻게 피해가지

알쉬 2013. 2. 5. 14:25

 

올해 세금 이슈는 당연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금액 변동입니다.

기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을 대폭 축소가 되었죠....

 간단한 세금 구조를 살펴보면,

세율이 결정되는 과세표준금액이 1200만원 이하시 6% ,

4600만원 이하는 15% , 8800만원 이하는 24% ,

그리고 3억 이하는 35% 이상은 38% ....

 

 

 


예를 들어서 전년도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합계가 4000만원 이하면 15.4%

원천징수. 즉 소득 수령시 세금이 원천적으로 부과가 되었는데,

올해부터는 3000만원 금융소득시 2000만원은 원천징수되고

2000만원 이상인 1000만원은 다른 종합소득과 합께 누진세 구조의 소득세

가 부과되어서 내년 5월 신고 납부 하셔야 합니다. 



그러면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피하기 위한 방편은 무엇이 있을까요..

먼저, 비과세 상품을되 생각하게 는데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즉시연금이

있겠죠..

( 이마저도 세법이 개편되어서 2억원 이하까지만 비과세 될 것입니다. )

 

 

두번째는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 주식 매매입니다.

소액 투자자의 주식매매차익은 비과세이기 때문에 주식 시장만 괜찮다면

일부 투자금을 이용해 볼 가치는 있죠.

또한 국내 주식형 펀드 매매차익도 비과세 되오니 참고하세요..

 

 



셋째,금융소득종합과세는 부부합산하지 않기 때문에 증여로 인해 절세가

가능하죠 부부간에 재산 증여시 10년간 6억원이 공제되기 떄문에 활용도

가 높습니다.

 




마지막으로 제가 추천해 드리고 싶은 ETF 투자 입니다.

KODEX 200 등 상장 되었있는 상장 지수 펀드 같은 경우도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입니다.

(단 KODEX 레버리지 인버스 등 파생상품을 기초상품으로 한 ETF 와 해외지수형 ETF는 금융종합소득에 포함됩니다.)





< 추 천 글 >

[세 금] - 소득세편 ( 양도소득세 )

[세 금] - 소득세편 ( 종합과세 분리과세 )

[세 금] - 주택 취득세 감면 6개월 연장 확정이라네요..

[이 슈] - 재형저축 ( 가입조건 금리 혜택 장단점 )

[세 금] - 차명계좌 증여추정 ( 증여세 편 )